목록Dependency (2)
HIT해

의존성 주입(Dependency Injection, DI)이란?의존성 주입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서 자주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디자인 패턴 중 하나로, 객체가 필요로 하는 의존성을 외부에서 주입받는 방법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코드의 결합도를 낮추고, 테스트와 유지보수가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의존성 주입의 개념의존성(Dependency): 객체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해 필요한 외부 객체나 자원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클래스 A가 클래스 B의 기능을 사용해야 한다면, 클래스 A는 클래스 B에 의존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주입(Injection): 의존성을 외부에서 제공하는 행위다. 객체가 필요한 의존성을 직접 생성하지 않고, 외부에서 주입받음으로써 코드의 유연성을 높일 수 있다.의존성 주입의 장점결합도..

import UIKit// 프로토콜은 약속// 뭔가를 강제protocol Talking { func sayHi()}class BestTalk : Talking { func sayHi() { print("최고의 대화였어") }}class OldTalk : Talking { func sayHi() { print("오랜만의 대화였어") }} 두 클래스 모두 sayHi라는 함수를 가지고 있어야만한다. 의존성 주입을 해보자import UIKit// 프로토콜은 약속// 뭔가를 강제protocol Talking { var saying : String { get set } func sayHi() }class BestTalk : Talki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