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카카오 로그인 (3)
HIT해
앞서서 플러터에서 Android설정을 끝마쳤다면 이번엔 백엔드에서의 설정이다. yml 파일에서 설정을 바꿔줘야한다. oauth: kakao: client-id: "RESTAPI키" redirect-uri: "https://"카카오토큰변환주소" grant_type: authorization_code 카카오 클라이언트 키들중에서 REST API 키를 넣어주면 끝!

이전 편을 하고 왔다면 이제 정상까지 얼마 남지 않았다. 우리가 해줘야하는 설정이 있다. yaml 파일에 요걸 등록해주고 문서 > Android > 시작하기 를 참고해 ( https://developers.kakao.com/docs/latest/ko/android/getting-started#before-you-begin ) 1. 인터넷 사용 권한 설정을 해준다. 2. 인가 코드를 받기 위해 Redirect URI 설정을 해야한다. 이를 위해 위와 마찬가지로 AndroidManifest.xml에 액티비티 설정을 한다. 아래 입력란에 내 애플리케이션의 네이티브 키를 넣어준다. 3. main.dart 수정 앱이 실행되기 전에 Flutter SDK를 초기화하고 이를 위해 비동기 선언을 해주어야한다. 마찬가지로..

프로젝트에서 카카오 로그인 구현을 담당하게 됐다. Firebase 푸시 알림에 이어 프로젝트 내 두번째 서버와의 통신 작업이다. ( 왜일까 프론트와 점점 멀어져가는 느낌..? ) 하지만 맡은 역할은 책임있게 다 해야하기에 카카오 로그인에 하루를 통째로 투자해 성공시킨 내 경험을 녹여낸 카카오 구현 방법이다. ( 내 자유시간은 어디에... ) 1. 어플리케이션 등록 https://developers.kakao.com/console/app 카카오계정 accounts.kakao.com 위의 링크에 들어가야지 카카오 로그인 서비스를 만들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추가를 누르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보인다. 본인 어플리케이션 명과 사업자명 카테고리를 넣으면 되는데 "어.. 나는 앱출시할생각 없고 디버그로 할건데 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