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Flutter/CS (3)
HIT해

Lazy Loading ( 지연 로딩 )필요한 시점에 데이터를 불러오거나 객체를 생성하여 메모리와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기법즉, 한꺼번에 모든 데이터를 미리 준비하지 않고, 사용자가 필요로 할 때마다 점진적으로 처리하는 방식 특징무거운 작업이나 데이터 로딩을 필요할 때만 수행초기 로드 시간을 줄이고 메모리 사용을 최소화스크롤이나 UI 인터랙션, 페이지네이션에 따라 점진적으로 데이터 또는 UI를 생성 ListView로 확인해보자ListView( children: [ ListTile(title: Text('Item 1')), ListTile(title: Text('Item 2')), ListTile(title: Text('Item 3')), // 모든 아이템들을 한꺼번에 생성 ..

BuildContext위젯 트리 내에서 현재 위젯의 위치를 나타내는 핸들 역할을 하는 객체build() 메서드 내에서 인자로 전달되며, context를 통해 위젯 트리 상의 상위 위젯, 상태 관리 객체 등 다양한 정보를 탐색할 수 있다위젯 트리에서 조상 위젯을 탐색하거나, 데이터를 내려주고 받는 데 꼭 필요한 연결고리 역할을 한다.예제void main() { runApp(MyApp()); // MyApp은 최상위 위젯}class MyApp extends StatelessWidget { @override Widget build(BuildContext context) { return MaterialApp( title: 'Flutter Demo', home: HomeScreen()..

플러터에는 3가지 트리가 있습니다.1. Widget Tree2. Element Tree3. RenderObject Tree Flutter는 위젯을 사용해 UI를 선언하고, 위젯들은 빈번하게 재생성되는데만약 화면을 하나의 트리만으로 관리한다면, 부모 위젯의 변화는 모든 자식까지 불필요하게 빌드 및 렌더링을 하게돼성능 저하가 발생합니다 > 한 가지 트리를 여러 레이어로 나누어 해결한다 Widget Tree설계도는 언제든 새로 그려도 부담이 없듯, 단순히 "UI가 어떻게 보여야 하는지"를 정의한다불변 오브젝트UI의 설계도생성과 파기 비용이 매우 적어 자주 바뀌어도 부담이 없다상태를 직접 가지지 않음변경시 새 Widget Instance를 만들어 Element에게 전달Element Tree가변 오브젝트Wid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