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CS (17)
HIT해

Overflow/Underflow?Overflow: 데이터 타입의 최대값을 넘으면 값이 다시 최소값부터 시작함.Underflow: 최소값 아래로 내려가면 값이 다시 최대값부터 시작함.// int: -2,147,483,648 ~ 2,147,483,647 int max = Integer.MAX_VALUE; System.out.println("max: " + max); // 2147483647 System.out.println("max + 1: " + (max + 1)); // -2147483648 (오버플로우)int min = Integer.MIN_VALUE;System.out.println("min: " + min); // -2147483648System.out.println("min - 1: " + (m..

프로세스 메모리란?메모리 내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해두는 영역이다.각 프로세스는 자신만의 주소 공간을 갖고, 그에 상응하는 메모리를 필요로 한다.프로그램 실행 관점에서, 기억 공간을 연결하기 위해 참조와 바인딩 개념을 활용한다.참조주소와 변수 간의 관계를 의미한다.메모리 내 위치를 참조하기 위해 주소(수치화된 값)를 사용한다.수치 주소를 기억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름을 붙인 변수를 사용한다.바인딩변수와 기억장소(메모리) 간의 관계를 의미한다.변수에 기억장소를 할당하는 것은 특정 메모리 공간을 바인딩하는 것과 같다.즉, 변수를 실제 저장되는 값과 연결짓는 과정이다. 메모리 할당영역 스택 메모리지역 변수, 함수 호출, 함수 매개변수 등 자동 변수가 저장되는 영역이다.블록 내 생성된 지역 변수를 처리하기 위..
변수란?기억장치에서 그 내용물이 변할 수 있는, 저장 장소를 추상화하여 문자나 숫자같은 값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이다. 데이터 타입이란?Java에서는 어떤 데이터를 저장할지 명시적으로 알려주는데, 이것을 데이터 타입(자료형)이라고 한다.데이터 타입은 변수에 저장할 데이터가 메모리에 어떻게 저장되고, 프로그램에서 어떻게 처리되어야 하는지를 명시적으로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데이터 타입의 분류Java의 데이터 타입은 기본형(Primitive Type)과 참조형(Reference Type)으로 구분된다. 기본형(Primitive Type)실제 값을 저장하는 데이터 타입이다.메모리의 Stack 영역에 값이 직접 저장된다.소문자로 시작하며, null 값을 가질 수 없다.변수 선언과 동시에 메모리 생성, 고정된 크기..

프로토콜이란?1명 이상의 실체(컴퓨터, 서버 등) 사이에서 무엇을, 언제, 어떻게 통신할지 정해놓은 절차, 규칙, 약속을 의미한다.즉,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반드시 따라야 하는 '통신의 규약'이다.프로토콜의 구성요소Syntax(문법): 데이터 포맷, 부호화 방식Semantic(의미): 전송 제어 정보, 오류 처리Timing(타이밍): 속도 일치, 순서 제어웹 프로토콜이란?웹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사용하는 통신 규약을 말한다.대표적으로 HTTP, HTTPS, FTP, SMTP, DNS, TCP, UDP, SSL, TLS 등이 있다.주요 웹 프로토콜과 포트 번호프로토콜설명기본 포트HTTP웹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기본 프로토콜 (비암호화)80HTTPSHTTP에 SSL/TLS로 암호화를 더한 보안 프로토콜4..

암호란?정보를 이해할 수 없게 암호화하거나, 다시 해독하기 위한 일련의 단계를 정의한 알고리즘을 말한다. 암호 기법이란?메시지의 의미를 숨기는 다양한 방법론을 의미한다. 암호화 절차암호키의 대칭성에 따른 분류1. 대칭키 방식 (비밀키 방식)암호화와 복호화에 같은 키를 사용한다.대표 알고리즘: DES, AES 등이 있다.2. 비대칭키 방식 (공개키 방식)암호화와 복호화에 서로 다른 키를 사용한다.대표 알고리즘: RSA 등이 있다. 대칭키 방식 특징대용량 평문을 암호화할 때 비대칭키 방식보다 훨씬 빠르고 효율적이다.하나의 비밀키만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수학적으로 관계된 2개의 키로 인증과 키교환을 해결한 뒤, 대칭 암호키를 확보해서 공유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블록 암호화입력되는 평문 데이터를 블록 단위로 ..
REST API란?REST API는 REST 아키텍처 스타일을 따르는 웹 API REST란?REST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는 자원을 URI로 식별하고,HTTP 메서드(GET, POST, PUT, DELETE 등)로 자원에 대한 행위를 정의한다. 정리하자면 HTTP URI 를 통해 자원을 명시하고,HTTP Method 를 통해 해당 자원(URL)에 대한 CRUD Operation을 적용하는 것을 의미한다.REST 구성요소1. 자원 : URL2. 향위 ( Verb ) : HTTP Method ( 자원 요청 방법 )3. 자원에 대한 행위의 내용 : HTTP Message Pay Load REST의 특징클라이언트-서버 구조: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명확히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

OSI 7계층이란?OSI 7계층은 네트워크 통신 과정을 7단계로 나눈 국제 표준 모델입니다.이렇게 계층을 나눈 이유는 통신 과정을 단계별로 파악하기 쉽고, 문제 발생 시 해당 단계만 집중적으로 점검·수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실제 문제 해결 예시모든 PC가 인터넷이 안 될 때: 1계층(회선), 3계층(라우터) 문제 의심특정 PC만 안 될 때: 2계층(스위치), 7계층(소프트웨어) 문제 의심 OSI 7계층 정리1계층 - 물리 계층 (Physical Layer)데이터를 0과 1로 이루어진 비트 단위로 전기적, 광학적 신호로 변환해 전송하는 계층전송 장치(케이블, 리피터, 허브 등)를 통해 단순히 신호를 주고받는 역할만 하며, 데이터의 내용이나 오류는 신경 쓰지 않는다.즉, 케이블, 리피터, 허브를 통해 데이..

Redux는 주로 React와 같은 프론트엔드 프레임워크에서 사용되는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입니다.단방향 데이터 흐름(One-way Data Flow)을 핵심 원칙으로 하며, 상태 관리 로직을 뷰와 명확히 분리해 복잡한 앱에서도 상태를 예측 가능하고 일관성 있게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이러한 아키텍처는 React뿐 아니라 Swift 등 다양한 환경에서도 채택되고 있습니다. Flux 패턴 Flux는 2014년 페이스북 F8 컨퍼런스에서 발표된 아키텍처로, Client-Side 웹 애플리케이션을 만들기 위해 개발되었다.MVC 패턴의 복잡성과 예측 불가능성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단방향 데이터 흐름 아키텍처 패턴입니다.Flux는 Action → Dispatcher → Store → View 구조를 가지며,..